카테고리 없음

[내용 수정]간단히 AARRR개념 정리 및 농심 기업 조사(AARRR관점)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

수닝이 2025. 1. 14. 15:25

정리 내용 소개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을 읽고 간단하게 AARRR관점을 정리했다. 그 후 AARRR을 염두하여 관련 링크와 인터넷 서치해 농심 기업을 정리했다.

 

AARRR

1.) Acquisition(고객유치)

  • 고객을 서비스로 데려오는 것을 한다.
  • 핵심은 고객 유치에 기여한 채널의 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 미식별 트래픽의 비중을 줄이는 것이다.
    -> 광고를 통해 자연스럽게 접하게된 유저를 말함

2.) Actavation(활성화)

  • 고객 유치를 통해 데려온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핵심가치를 경험하게 만드는 것이다.
  • 핵심은 퍼널(Funnel)에대한 분석이다.

Actavation(활성화)  고려요소 3가지

  1. 핵심가치를 경험하는 시점과 그곳으로 연결되는 각 단계를 잘 정의했는가?
  2. 각 단계별 전환율을 어떤 기준으로 측정하는가?
  3. 코호트(Cohort)에 따른 퍼널별 전환율을 보고있는가?

3.) Retention(=유지율).

  • 핵심가치를 꾸준히 경험하게한다.
  • 성공을 예측할 수 잇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 단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아닌 전반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개선해야하기 때문에 개선이 가장 어려운 단계이다.

4.) Revenue(수익화)

  • 사업의 승패를 결정하는 지표
  • 수익화 관리를 위해서는 서비스가 어떤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 명확히 이해하고 모델이 잘 작동하는지 비용대비 수익이 안정적인지를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어야한다.
  • 가장 중요한 지표는 ARPU(인당 평균 매출) 이다
    공식
            ARPU(인당 평균 매출)
      =  Revenue / User
    의미
     *  한 명이 평균적으로 발생시키는 매출
    장점
     *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매출이 어떤 속도로 증가하는지 가늠하기 좋다.
     * 시작과 끝이 있다.(특정 기간에 대한 지표)

5.) Referral(추천율)

  • 기존 사용자나의 추천이나 입소문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를 데려오는 것을 말한다.
  • AARRR에 따르면 서비스 내에 입소문을 통한 선순환 구조를 어떻게 구축할 것 인지 고려해야한다.
  • 초대의 주기가 얼마나 빠른지도 고려해야한다.
  • 바이럴 계수(Viral Coefficient) - 추천엔진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바이럴 계수  = 사용자 수 * 초대비율 * 인당 초대한 친구 수 * 전환율 / 사용자 수
    바이럴 계수 높이는 방법
      1. 추천 액션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비율을 높인다.
      2. 한 사람이 평균적으로 초대하는 친구의 수를 높인다.
      3.
    초대받은 친구가 가입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높인다.
  • EXAMPLE : 초대, 메시지/보상, 온보드 프로세스

 

농심 - AARRR 기업분석

1.) Acquisition(고객 유치)

유명 연예인의 광고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을 소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당 링크 : 영상광고 | 광고 이야기 | 광고와 새소식 | 신라면블랙 | 농심

 

1. 인지도가 높은 라면 브랜드 위주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며 신규 고객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

인지도 있는 신라면의 맵기를 2배 이상 강화한 ‘신라면 더 레드’ 등을 출시해 고객을 유치에 노력한 것으로 생각된다.

2. 고객 참여형 이벤트로 특정 팀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야구 팬들을 기업의 고객으로 전환함으로써 충성고객 유치를 위한 기반을 다진다.

해당 링크 : 기업심층분석 4. 농심,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2.) Actavation(활성화)

농심의 핵심 가치

농심의 정신

관련 링크 : 농심 경영 철학


스마트  팜

2021년 7월 ‘뉴(NEW) 농심’을 선언하며 스마트팜/건강기능식품/비건푸드를 3대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대체육 브랜드 ‘베지가든’ 사업, 스마트팜 사업 등을 꼽을 수 있다. 스마트팜은 눈에 보이는 성과가 하나둘 나오고 있다. 2022년 오만에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을 수출했고, 2023년에는 UAE, 사우디아라비아에 딸기 스마트팜 수출 MOU를 체결했다. 북미 매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미국 2공장의 라인 증설을 진행 중이고, 미국이나 멕시코에 해외 공장 증설 및 M&A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링크 : 기업심층분석 4. 농심,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기존 제품 조리법 외에도 간단한 레시피를 소개해 소비자가 접할 수 있게끔 유도하는 듯 하다.

해당 링크 :  링크 : 추천 레시피 | 신라면블랙 | 농심  

3.) Retention (=유지율)

[해외 유지율 사례]

최근 급증하는 유럽시장 수요 대응이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 중단기적으로는 북미 생산 능력을 앞세워 남미로의 침투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남미시장은 북미보다 큰 시장인 만큼 멕시코를 시작으로 남미 커버리지(기업분석)가 확대되면서 미주 법인 매출도 연간 성장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링크 : 기사

기존 제품 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사를 통해 소비자에게 끊임없이 홍보하고 핵심 가치를 직*간접적으로 체함할 수 있게끔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당 링크 :  농심 소식 | 농심

 

4.) Revenue(수익화)

해당 링크 : 수익성

따로 경영과 제품 연구에 관련된 부서를 두어 지속적으로 수익화가 가능하도록 끊임없이 연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당 링크 : 연구개발 | 농심

 

5.) Referral (추천율)

전국적으로 농심의 어떤 라면이 인기가 있는 지 찾아보았다.

해당 링크 : 전국적 농심 라면

 

그 외에도 인터넷에 제품 리뷰 등도 추천율에 포함되는 자료 같아 링크를 걸어두었다.(꽤 최근까지도 리뷰되었다.)

해당 링크 : 농심 제품 리뷰 : 네이버 블로그검색

 

출처